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2

희귀 유전질환 중심핵 병 (RYR1 변이와 악성 고열 관련성) 중심핵 병(Central core disease, CCD)은 신생아기 또는 유아기에 골격근 이상이 나타나는 희귀 유전 신경근육질환입니다. 근육 생검 시 근육 섬유의 중심 부분에 비정상적인 '중심핵(core)'이 관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체로 상염색체 우성 유전 양식을 보이며 비진행성 경과와 양호한 예후를 나타내지만, 일부는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어 중증 합병증과 연관되기도 합니다. 발병률은 매 출생아 10만 명당 약 6명으로 보고되며, 선천 근육병증 중 가장 흔한 형태 중 하나입니다. 주요 증상 (Symptoms)중심핵 병의 증상은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대부분 근위약(특히 어깨·허벅지 등 몸통 가까운 근육에서 심함)과 근긴장저하를 보이며, 영아기부터 머리를 가누기 어렵거나 앉기 힘든 모습이.. 2025. 8. 22.
QT 연장증후군(긴QT), 증상부터 치료까지 한눈에! 긴 QT증후군(Long QT Syndrome)은 심장 박동 사이의 회복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지면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부정맥과 돌연사를 유발하는 희귀 질환입니다. 유전적인 원인 또는 특정 약물, 전해질 이상 등의 후천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심전도 상 QT 간격의 연장이 특징입니다. 특히 아무런 증상 없이 첫 실신이나 급사로 발현되는 경우도 있어, 조기 진단과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표 증상 – 실신, 발작, 돌연사긴 QT증후군의 대표 증상은 실신(syncope)입니다. 이는 심장의 전기 신호 회복 지연으로 발생하는 심실빈맥(VT)이나 Torsade de Pointes와 같은 치명적인 부정맥으로 인해 뇌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차단되며 발생합니다. 운동 중, 감정적으로 흥분하거나.. 2025. 8. 21.
버거병(폐색혈전혈관염), 증상부터 치료까지 총정리 폐색혈전혈관염(Thromboangiitis Obliterans), 흔히 ‘버거병(Buerger's disease)’으로 불리는 이 질환은 중소 혈관에 염증이 생기고 혈관이 막히면서 혈류가 차단되어 통증, 궤양, 심할 경우 조직 괴사로까지 이어지는 희귀 혈관염 질환입니다. 주로 손발 말단에서 시작하여 점차 위로 진행되며,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절단까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 – 파행, 레이노 현상, 통증버거병은 주로 젊은 남성 흡연자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40세 이전에 처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초기 증상은 걸을 때 다리에 경련이 일어나거나 발가락 끝이 저리고 통증이 느껴지는 파행증(claudication)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휴식 중에도 통증이 생기며, .. 2025. 8. 21.
유전성 출혈성 혈관확장증, 코피·빈혈·내부 출혈 원인 질환 랑뒤-오슬러-웨버병(Rendu-Osler-Weber Disease)은 유전성 출혈성 혈관확장증(HHT, 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으로 불리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피부와 점막의 혈관확장증, 반복되는 코피, 내부 장기(폐, 간, 뇌, 위장관 등)에 발생하는 동정맥루(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가 주요 특징입니다. 국내에서도 산정특례(V235) 희귀 질환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조기 발견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주요 증상 – 반복되는 코피와 내부 장기의 혈관 기형랑뒤-오슬러-웨버병은 소아기부터 반복되는 자발적인 코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연령이 증가하면서 피부와 점막에 붉은색 혈관 확장 병변이 나타납니다. 특히 .. 2025. 8. 20.
다중미세심병과 경직척주증후군, 선천성 근병증의 이해 미세심 병(Minicore Disease)은 선천성 근병증의 한 형태로, 근육 생검에서 다수의 작은 중심 병변(minicores)이 관찰되는 병리학적 특징을 가집니다. 이 질환은 주로 RYR1 또는 SEPN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근긴장도 저하, 근육 약화, 척추 변형, 호흡기 문제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비교적 드물고 진행이 느린 희귀질환이지만, 경우에 따라 중증 호흡부전이나 심장기능 저하가 동반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주요 증상 – 근약화, 척추변형, 호흡기 이상미세심 병은 생후 또는 신생아기부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주로 전신적인 근긴장 저하와 사지의 근육 약화가 특징입니다. 특히 척추 및 흉추 부위의 축성근육이 영향을 받아 경직척주(rigi.. 2025. 8. 20.
제1형 근섬유 위축증, 희귀 근육질환의 모든 것 근섬유형 불균형(Fibre-type disproportion)은 선천성 근육질환 중 하나로, 주로 출생 직후부터 근육 긴장도 저하와 근위약 증상을 보이며 진단됩니다. 이 질환은 제1형 근섬유가 제2형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작아지는 것이 특징이며, 운동 발달 지연, 척추측만증, 엉덩이 관절 탈구 등의 근골격계 이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발병 원인은 다양한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한 유전적 이질성에 있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근전도 검사, 근육 생검, 유전자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주요 증상 – 근 위약, 척추측만증, 관절 탈구근섬유형 불균형은 대부분 출생 초기에 증상이 시작되며, 근긴장도 저하와 함께 팔, 다리, 척추 및 목 주변의 근위부 근육 약화가 주요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척추측만증, 엉덩이 관절 탈.. 2025.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