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2

희귀질환 리이 증후군(Leigh Syndrome), 우리 아이의 퇴행성 뇌질환을 이해하기 아급성 괴사성 뇌병증, 흔히 리이 증후군(Leigh Syndrome)으로 불리는 이 질환은 1951년 영국의 의사 리이(Leigh)에 의해 처음 보고된 희귀한 유전성 신경대사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대개 생후 3개월에서 2세 사이에 발병하며,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생성 장애로 인해 중추신경계와 심장, 신장, 눈, 근육 등 다양한 기관에 영향을 미칩니다.이전까지 정상적으로 발달하던 아이가 갑자기 운동 기능을 상실하거나, 식욕 저하, 구토, 보챔, 전신 쇠약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즉시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이외에도 젖산산증, 발작, 호흡 곤란, 시각 문제 등 다양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리이 증후군의 주요 증상이 질환은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발병 시기와 증상의 양상이 조금씩 다릅니다. 가장.. 2025. 9. 6.
아이카디-구티에레스 증후군이란? 뇌를 공격하는 희귀 유전질환 1. 개요아이카디-구티에레스 증후군은 주로 영아기나 신생아기에 발병하는 희귀 유전성 신경계 질환입니다. 뇌, 간, 심장, 부신, 이자, 근육 등 다양한 장기를 침범하며, 뇌백질 손상, 기저핵 석회화, 뇌척수액 림프구 증가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감염에 의한 질환처럼 보이기도 하여 ‘가성 톡소포자충증 증후군’이라고도 불렸습니다.세계적으로 문헌에 보고된 사례는 약 120례 정도로, 매우 드문 질병이며, 전체 환자의 약 20%는 출생 직후 조기 발병을 보입니다. 이 경우 신경학적 증상이 더 심하며, 중증 형태는 10세 이전에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면, 증상이 경한 경우에는 비교적 긴 생존 기간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2. 주요 증상조기 발병형에서는 생후 수일 내에 뇌병증 증상과 함께 간수치 상승, .. 2025. 9. 5.
다발경화증 완전정복: 증상부터 치료까지 한눈에 이해하기 다발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은 중추신경계, 즉 뇌와 척수, 시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적인 자가면역성 신경질환입니다. 면역체계가 자신의 신경세포를 둘러싼 수초(myelin sheath)를 공격하면서 염증과 흉터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신경 신호 전달이 방해받게 됩니다.다발경화증은 재발-완화형(RRMS), 2차 진행형(SPMS), 원발성 진행형(PPMS), 진행성 재발형(PRMS) 등 네 가지 주요 형태로 분류됩니다. 가장 흔한 유형은 RRMS로 전체 환자의 약 70~75%가 이에 해당하며, 증상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양상을 반복합니다. 다양한 증상과 영향 부위다발경화증은 매우 다양한 증상 양상을 보이며, 그 중 대표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감각 이상: 저림, 바늘로 찌르는 듯.. 2025. 8. 30.
레녹스-가스토 증후군(LGS)이란? 소아기 난치성 뇌전증의 이해와 치료 레녹스-가스토 증후군은 소아기에 발병하는 난치성 뇌전증 증후군으로, 다양한 유형의 발작과 심각한 인지 및 행동 문제를 동반하는 질환입니다. 전체 소아 뇌전증 중 약 1~2%를 차지하며, 대개 8세 이전에 발병합니다. 여러 종류의 경련이 나타나며 발달지연, 지능저하, 충동 조절장애 등의 문제로 인해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질환입니다.특징적인 증상레녹스-가스토 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은 다양한 종류의 경련입니다. 가장 흔한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강직 발작 (Tonic seizure): 근육의 지속적인 수축으로 인해 팔다리를 뻗거나 몸이 굳는 증상. 의식 소실을 동반할 수 있음.무긴장 발작 (Atonic seizure): 갑작스럽게 근육의 긴장도가 사라져 낙상 등 사고 위험이 큼.비전형적 결신 발작:.. 2025. 8. 29.
긴장-간대성 뇌전증지속상태란? 긴장-간대성 뇌전증지속상태는 전신에 경련을 일으키며 의식 회복 없이 발작이 반복되는 매우 위중한 신경계 응급질환입니다. 일반적인 단일 뇌전증 발작과는 달리, 발작이 수분 이상 지속되거나 중단 없이 이어지며, 그 자체만으로도 심각한 뇌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뇌전증지속상태란?뇌전증 지속상태(Status Epilepticus, SE)는 단일 뇌전증 발작이 아닌, 연속된 발작 혹은 5분 이상 지속되는 발작을 말합니다. 과거에는 30분 이상 지속 시 SE로 정의했지만, 현재는 발작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두 번 이상 의식 회복 없이 발작이 연속될 경우 SE로 간주합니다. 이러한 상태는 신속한 응급처치가 필요하며, 치료가 지연될 경우 사망률이 20~30%에 이릅니다. 가장 흔한 형태: 긴장-간대성 뇌전증 지.. 2025. 8. 28.
유전성 운동 및 감각 신경병증(HMSN, 샤르코-마리-투스병) 원인·증상·치료 가이드 유전성 운동 및 감각 신경병증 (Hereditary motor and sensory neuropathy, HMSN)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이 손상되어 손발의 근육이 위축되고 감각 이상이 나타나는 희귀 유전 질환입니다. 대표적으로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CMT)과 동일한 질환군으로 분류됩니다. 이 병은 1886년 샤르코(Charcot), 마리(Marie), 투스(Tooth)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인구 100,000명당 최대 40명 정도의 유병률을 보입니다. 남녀 구분 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전성 신경질환 중 비교적 흔한 편에 속합니다. 주요 증상 (Symptoms)HMSN 환자는 손과 발의 근육 위축 및 약화를 특징으로 하며, 발 모양이.. 2025. 8.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