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 진단과 관리법은?

by 잡연소 2025. 9. 13.
반응형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증은 진행성 근육 위축을 보이는 질환 중에서 다른 명확한 진단명으로 구분되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신경계, 특히 척수의 운동신경세포가 점진적으로 손상되면서 근육이 약해지고 위축되는 희귀한 신경근육질환입니다.

유전자의 이상이 특정되지 않은 경우 '상세불명'으로 진단되지만, SMN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될 경우 척수근육위축증(SMA)의 특정 하위 유형으로 재분류됩니다.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

증상 (Symptoms)

척수성 근위축증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근육 약화 및 위축
  • 근긴장 저하 (hypotonia)
  • 운동 발달 지연
  • 호흡 기능 저하 및 호흡부전
  • 성장장애
  • 척추측만증 및 관절 구축
  • 심부건반사 소실
  • 혀 근육의 미세한 수축(속상수축, fasciculation)

증상은 출생 전부터 청소년기 또는 성인기 초반까지 다양한 시기에 나타날 수 있으며, 점차 악화되는 특징을 가집니다.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

원인 (Causes)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증은 일반적으로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가장 많이 알려진 유전자는 SMN1 유전자입니다. 이 유전자의 이상은 운동신경세포 생존에 필수적인 단백질인 SMN 단백의 결핍을 초래합니다.

SMN 단백이 부족하면 운동신경세포가 손상되고, 그 결과 근육이 점차적으로 위축됩니다. SMN 유전자 결손이 없는 경우에는 다른 유전적 원인을 찾아야 하며, 이런 경우를 ‘상세불명’으로 분류합니다.

진단 방법 (Diagnosis)

진단은 임상 증상과 함께 유전자 검사 및 신경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이뤄집니다.

1. 유전자 검사

가장 중요한 검사로, SMN1 유전자의 결손 여부를 확인합니다. 양성일 경우 척수근육위축증으로 확진할 수 있습니다.

2. 근전도 검사(EMG)

근육에서 나오는 전기 신호를 측정하여, 탈신경 근육의 여부를 확인합니다. 세동(fibrillation), 근육다발수축(fasciculation) 등이 관찰됩니다.

3. 신경전도검사(NCS)

신경에 전기 자극을 주고 그 반응을 측정하여 말초신경 기능을 평가합니다.

이 외에도 드물게 근육생검이 시행되며, 이 경우 탈신경 위축의 소견이 나타납니다.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

치료 및 관리 (Treatment & Care)

현재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증에 대한 완치 치료는 없으며, 대증적 치료와 지지요법이 기본입니다.

1. 호흡 재활

  • 만성 호흡부전 예방
  • 비침습적 인공호흡기 사용
  • 필요 시 기관절개

2. 영양 관리

  • 연하곤란 예방
  • 위루술(G-tube)을 통한 영양 공급
  • 흡인성 폐렴 예방

3. 물리치료 및 운동치료

  • 관절 구축 예방
  • 보행 기능 유지
  • 척추측만증 예방

4. 보조기 및 재활 장비

  • 지지기구 및 휠체어 사용
  • 기립훈련기 및 자세 교정 기구

치료는 호흡치료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영양사, 유전상담사 등 다학제적 팀 접근이 중요합니다.

예후 및 지원

SMA의 예후는 발병 시기, 증상의 정도, 치료 접근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관리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현재 상세불명의 SMA도 산정특례코드 V123에 해당되어, 등록 시 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대상 여부는 보건복지부 혹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

마무리

상세불명의 척수성 근위축증은 아직 많은 부분이 연구 중인 질환이지만, 증상 관리와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습니다. 유전자 연구가 지속되면서 향후에는 더 정확한 진단과 맞춤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조기 진단과 꾸준한 관리, 그리고 전문가들과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SMA 관련 증상이 의심된다면 반드시 전문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